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얀센, 혈전 부작용에 백신 접종 제한 검토... 오미크론 못막는다

by 큐레이터J 2021. 12. 17.
반응형

얀센, 혈전 부작용에 백신 접종 제한 검토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19 백신으로 얀센 사용 제한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얀센 백신이 낮은 확률이지만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이어왔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미국 내 얀센 접종자는 1400만명이며 얀센 백신을 받은 여성 30~49세 사이에서 10만명 당 1명 꼴로 혈전이 발생했다. 얀센 접종 후 인과성이 인정된 혈전 사례는 54명으로 모두 입원 치료 중이다. 사망사례는 총 9건으로 여성 7명과 남성 2명이 포함됐다. 연령은 20대 후반부터 60대 사이였다. 지난 4월에도 얀센의 혈전 부작용이 문제가 돼 10일간 사용이 중단된 적이 있었으나, 부작용 리스크 보다 백신 접종의 이득이 더 크다는 이유로 사용을 재개했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백신의 교차접종을 잠정 권고하고 있다. CDC 자문기구는 혈전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얀센의 코로나 백신보다 화이자·모더나 등 mRNA 기반 백신을 우선 접종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mRNA 코로나 백신을 우선 권고하지만 얀센 백신 사용자체를 중단해서 안 된다고 CDC 자문위원은 밝혔다. 

현재 얀센 백신은 현재 미국에서 18세 이상에게 접종이 허가돼 있으며, 얀센·화이자·모더나 백신 접종자에 대한 부스터샷으로도 허용되고 있다. 얀센 백신 접종자는 접종 완료 2개월 후부터 부스터샷을 맞을 수 있다. 


부스터샷 맞아도 오미크론 돌파감염 '충격' 

반면, 증상은 약해 입원치료는 없어

부스터샷 3차 접종을 마친 이들에게도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 돌파감염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왔다. 

16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스텔렌보스대 연구팀은 남아공 케이프타운에서 오미크론에 감염된 독일인 7명의 사례를 연구한 결과 이들 전원이 부스터샷 접종을 마친 뒤 1~2개월이 지난 후였다. 오미크론에 감염된 7명 가운데 5명은 화이자 백신 1·2차 접종과 부스터샷을 완료한 이들이다. 다른 한 명은 1·2차로 화이자 백신, 부스터샷으로 모더나 백신을 맞았다. 남은 한 명은 1차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고 2차와 부스터샷으로는 화이자 백신을 맞았다. 이들 모두 이전에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은 없었으며 연령은 20대 후반에서 30대 후반 사이였다. 오미크론 감염 이후 증상은 경증 또는 중증 정도 증상으로 입원치료는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예방접종 사전예약 바로가기

코로나 3차접종 부스터샷 모더나?화이자? 알고맞자

 

코로나 3차 접종 부스터샷 모더나? 화이자? 알고 맞자

3차접종 부스터샷 뜻 접종간격 접종대상, 신청방법 부스터샷 접종 현황, 예약신청 바로가기 부스터샷 모더나? 화이자? 부스터샷 뜻 COVID-19 백신 접종 후 바이러스에 대한 보호력과 변이로 인한

curatorj.tistory.com

오미크론 첫 사망자 발생..국내 오미크론 확진자 수 

 

오미크론 첫 사망자 발생 .. 국내 오미크론 확진자 수 증상 확인방법

오미크론 확진자수 영국 오미크론 첫 사망자 발생 오미크론 대표증상 확인 코로나19 오미크론 확진자 발생현황확인 바로가기 국내 오미크론 5명 늘어…누적 119명, 무증상 경증이 대부분 질병관

curatorj.tistory.com

백신 부스터샷 찬성? 반대? 부작용? 뜻 기간 예약하기

 

백신 부스터샷 찬성? 반대? 부작용? 뜻 기간 예약 대상 후기

부스터샷뜻 - 찬성?반대 부스터샷 효과 vs 부작용 부스터샷 후기 부스터샷 기간 부스터샷 대상 부스터샷 예약 부스터샷 맞아야 할까? 8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7175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curatorj.tistory.com

코로나19 접종현황 발생현황 바로가기

 

코로나19 접종현황 발생현황

코로나19 발생 현황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12월 4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752명, 사망자는 7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809명(치명률 0.81%)이라고 밝혔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curatorj.tistory.com

 

반응형

댓글